2차 목부의 구성성분
피자식물 (활엽수) 구성성분- 종축 방향 : 도관 (수분이동), 가도관 (수분이동) , 목부섬유 (지탱역할), 종축유세포 (물질이동)- 수평 방향 : 수선유세포 나자식물 (침엽수) 구성성분- 종축방향 : 가도관 (수분이동) 종축유세포 (물질이동), 수지도세포 (수지이동)- 수평방향 : 수선가도관 (수평 물이동), 수선유세포 (물질이동) , 수지도세포 (수지이동) 도관, 가도관, 목부섬유 : 2차세포벽, 원형질없음, 중앙이 비어있는 성숙세포도관 : 격막없고, 위아래가 뚫림가도관 : 세포가 폐쇄상태, 막공으로 수분만 이동수선유세포 : 방사조직, 살아있는 유세포, 수평방향의 물질이동가도관 : 원절의한 막공폐쇄이루어져 수분이동이 안될떄도 있음 도관의 공동화 유발 하는 원인1. 벽공의 손상2. 가뭄으로 인한 토..
목부 (변재와 심재) 의 구조
1. 목부란- 뿌리에서 물과 무기물질을 이동시켜주는 통로역할을 함- 나무중심의 죽은조직들 (심재) 나무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함- 먼저생성된 1차목부, 나중에 생성된 2차목부로 나뉨- 형성층 안쪽 조직/ 수분으르 이동시키는 통조조직, 목재- 1차목부 : 잎의 유관속 안에 있는 목부, 초본과 목본 모두에 존재- 2차목부 : 형성층에 의해 만들어지는 목부, 목본에만 존재 - 직경생장은 목부조직의 생산에 의해 이루어짐- 변재와 심재1) 변재 (물관부) - 최근 생산된 목부조직, 물과 무기물질을 이동하는 통로- 수피 안쪽 옅은색을 가진 부분, 수분함량이 높음- 구성요소 : 도관, 가도관, 목부섬유 - 방사조직, 유세포등 살아있는 세포 조직이 포함되어 있는 부분- 탄수화물 저장, 뿌리로부터 위쪽으로 수분을 이동함2..
줄기 (수간) 의 구조
줄기 : 잎을 지탱하는 기둥의 역할/ 아래로는 식물 뿌리와 연결, 위로는 잎과 연결/ 수분과 양분의 통로가 되는 영양기관 1. 줄기의 구조 - 외수피 (조피) -> 코르크조직 (주피) -> 피층 -> 사부조직 -> 형성층 -> 변재 -> 심재- 미분화 세포분열층인 형성층을 통해 2차 생장- 형성층 안쪽 : 목부조직 (변재/ 심재) 바깥쪽 : 수피조직 (사부, 피층, 코르크, 외수피) 2. 수피 조직1) 외수피 (조피) - 가장 바깥 조직, 죽은조직, 나이를 먹으면 패임- 수분 침투, 증발 막음, 직사광서느 추위로 나무보호- 탈락, 재생산, 탈락, 재상산 반복됨 2) 코르크 조직 (주피)- 코르크층 (외부, 목전층) - 코르크형성층 (목전형성층)- 코르크피층 (내부 목전피층)- 코르크 형성층, 크르크 피층..
기공의 개방기작, 폐쇄기작
1. 기공의 개방기작- 기공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변세포 내 액포의 삼투압을 높여 물을 들어오게 함.- 개방 기작1) 공변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청색광 수용체 -> H+ATPase 활성화 -> 세포막에서 H+ 내보냄2) 세포질 안으로 - 쌓임, 3) 세포질안으로 Cl-, H+ 유입, 4) 전화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K+유입5) K+, Cl- 증가, 삼투압이 증가, 물이 유입6) 공변세포가 팽창하고 기공이 열림 2. 기공폐쇄기작1) 수분스트레스 받음2) 뿌리에서 ABA 의 합성 증가. 3) 물관을 따라서 잎으로 이동4) 공변세포의 ABA 증가 , ABA 수용체 (H+, K+ 못들어오게, Ca+ 들어오게)5) 공변세포의 Ca2+증가6) 공변세포의 탈분극7) 공변세포의 K+유입억제, K+유출 촉진8) 삼투압감소..
[나무의사] 수목생리학 - 잎의 구조
잎 : 영양기관 중 핵심적 역할, 광합성과 호흡작용을 통해 식물의 생장, 생존 가반이 되는 탄수화물과 에너지 생산함1. 잎의 기능- 광합성, 증산,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, 외부환경변화 감지.- 대사활동이 가장 활발- 엽육조직, 기공, 1차목부, 1차사부의 기본구조를 가짐 2. 피자식물의 잎 구조- 상부의 상표피 : 책상조직 (상부는 해를 많이 받음, 광합성 많이하고 빽빽하게 형성/ 효율적인 광합성 작용 세포가 조밀하게 배열)- 하부의 하표피 : 해면조직 ( 탄산가스의 확산 용이 --> 세포 흩어져 배열)- 잎맥 안 상표피쪽 물관 (1차목부) 하표피쪽 체관 (1차사부) * 엽병 : 엽신 지탱* 엽신 : 각피, 상표피, 엽육조직 (책상, 해면조직), 하표피, 엽맥, 기공..
[나무의사] 수목생리학 살아있는 조직 / 죽어있는 조직
1. 유세포 (유조직을 이루고 있는 세포)- 살아있는 부분을 이루고 있는 세포- 원형질을 가지고 있고, 세포벽은 없음- 세포분열, 광합성, 호흡, 물질 (수분 제외) 이동, 생합성, 무기염 흡수, 증산작용 등의 대사작용을 담당함- 유세포가 모여있는 조직 : 잎, 눈, 꽃, 형성층, 세근 뿌리끝 표피세포 , 주피, 사부조직, 방사조직, 분비조직- 원형질 연락사 : 여러세포 소기관들과 세포의 연결망, 세포사이 통신과 전달이 가능, Sypmplast 체계 (원형질을 통한 연결체계) 2. 유세포 - 방사조직- 형성층에 의해 물관부 ~ 체관부까지 존재하는 2차조직 - 수평방향의 물질이동 담당- 탄수화물 저장, 세포분열 재개할 수 있는..
[나무의사] 나무 조직의 형태별 분류
수목생리학 - 나무 조직의 형태별 분류 1. 표피조직- 어린 식물의 표면 보호/ 수분증발 억제- 표피층, 털, 기공, 각피층 (큐티클층), 뿌리털- 죽어있는 조직이 대부분- 살아있는 조직: 기공, 뿌리털 2. 코르크조직- 코르크층, 코르크형성층, 크로크 피층을 포함한 층이다. - 표피가 탈락한 이후 표피조직을 대신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. - 수베린 함유 (단열성, 내화성 강함)- 코로크층 (외), 크로크 형성층 (중간), 코르크피층 (내) , 피목, 수피- 죽어있는 조직 : 코르크층- 살아있는 조직 : 코르크 형성층, 코르크 피층 3. 유조직- 후각조직과 후벽조직으로 나눔- 신장, 세포분열, 광합성, 호흡, 양분저장, 저수 , 통기, 유합조직생성, 부정아, 부정근등 대사작용 담당함- 대..
[나무의사] 수목의 분류학적 구분
수목생리학 - 수목의 분류학적 구분 1. 계-문-강-목-과-속-종으로 분류한다. 2. 나자식물과 피자식물 구분 □ 나자식물 - 침염수, 겉씨식물을 말함, 즉 종자가 겉으로 드러나 있는 식물 □ 피자식물- 활엽수, 속씨식물을 말함, 즉, 종자가 자방 (씨방) 안에 들어가 있는 식물임 3. 피자식물의 구분- 단자엽식물 (외떡잎 식물) 종자가 발아하여 나온 떡잎이 1개 / 초본식물이 많음/ 목본식물 (대나무류, 청미래덩굴류) 관다발의 배열이 비규칙적, 형성층이 없다. - 쌍자엽식물 (쌍떡잎 식물) 종자가 발아하여 나온 떡잎이 2개/ 대부분 목본식물 관다발의 배열이 규칙적, 형성층이 있다. 4. 영양구조 : 잎, 줄기, 뿌리 생식구조 : 꽃, 열매, 종자
[나무의사] 수목의 구조 공부하기
나무의사 공부 (1) 수목생리학 - 수목의 구조 공부하기 1 나무와 수목의 차이- 나무는 식물, 목재, 땔감을 모두 아우르는 말입니다.- 수목은 목재와 땔감 (즉, 나무) 를 제외한 살아있는 나무를 말합니다. 2. 수목의 구조 이해하기- 영양기관 : 잎, 줄기(수간, 원줄기), 주지 (원가지) 부주지, 뿌리- 생식기관 : 꽃, 눈, 잎, 나이테, 목재, 수피껍질 3. 수목을 구분하기- 교목과 관목 구분하기 교목: 4m 이상/ 하나의 줄기 관목: 4m 이하/ 여러개의 줄기 4. 초본과 목본 구분하기- 목본 : 생태학적 (지상부 월동 가능하다) , 수목학적 ( 형성층에 의한 2차생장이 가능하다)- 초본 : 생태학적 (지상부 월동 불가능 하다), 수목학적 (형성층에 의한 2차 생장이 불가능하다)** 예외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