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기공의 개방기작
- 기공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공변세포 내 액포의 삼투압을 높여 물을 들어오게 함.
- 개방 기작
1) 공변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청색광 수용체 -> H+ATPase 활성화 -> 세포막에서 H+ 내보냄
2) 세포질 안으로 - 쌓임,
3) 세포질안으로 Cl-, H+ 유입,
4) 전화의 불균형 해소를 위해 K+유입
5) K+, Cl- 증가, 삼투압이 증가, 물이 유입
6) 공변세포가 팽창하고 기공이 열림
2. 기공폐쇄기작
1) 수분스트레스 받음
2) 뿌리에서 ABA 의 합성 증가.
3) 물관을 따라서 잎으로 이동
4) 공변세포의 ABA 증가 , ABA 수용체 (H+, K+ 못들어오게, Ca+ 들어오게)
5) 공변세포의 Ca2+증가
6) 공변세포의 탈분극
7) 공변세포의 K+유입억제, K+유출 촉진
8) 삼투압감소
9) H20 방출
10) 기공 닫힘
기공
- 공변세포의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
- 증산작용조절, 이산화탄소 , 산소 흡수 방출
- 피자식물은 잎의 하표피에만 분포 (포퓰러 양면 분포)
- 단풍나무 17.3 (가장작음), 은행나무 56.3 (가장큼)
- 분포밀도 : 기공의 크기와 반비례, 수종간의 증산량의 차이를 줄여줌
- 기공이 차지하는 면적은 잎 표면적의 1% rkfid
- 나자식물의 기공 : 공변세포가 반족세포보다 깊게 위치, 증산작용 억제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