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나무의사] 수목생리학 - 기공의구조

반응형

기공 : 공변세포의 의해 만들어지는 구멍 / 증산작용 조절/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흡수와 방출

1. 기공의 구조

- 기공은 2개의 공변세포의 형태 변화로 인해서 생기는 구멍을 말함

- 공변세포의 기공쪽 (안) 세포벽 :  두꺼움

  공변세포의 반대쪽 (밖) 세포벽 : 더 얇음

--> 기공 쪽 (안) 세포벽이 끌어당겨지면서 기공이 열린다

- 피자식물 기공 : 잎의 뒷면 (하표피) 분포 (예외: 포플러 , 양면에 모두 균등하게 분포)

- 공변세포위치 : 피자식물은 공변세포가 반족세포 바깥쪽 위치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나자식물은 공변세포가 반족세포 안쪽 위치 (공변세포가 반족세포보다 깊게 위치하여 증산작용 억제)

- 나자식물 : 왁스층이 기공의 입구를 에워싸고 있어 증산작용을 효율적으로 억제

- 기공분포 밀도 : 크면 기공이 작다, 작으면 기공이 크다.

( 식물생존을 위해 필요한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절대량이 존재)

 

2. 기공의 역할

  • 광합성 작용 : 이산화탄소 흡수, 산소 방출
  • 호흡작용 : 산소흡수, 이산화탄소 방출
  • 증산작용: 수증기 배출

3. 환경조건에 따른 기공의 개폐

■ 기공이 열릴때 : 환경조건이 좋거나 필요할때

■ 기공이 닫힐때 : 환경조건이 안좋거나 필요없을때

 

a.햇빛

- 광도 : 기공이 열리는데 필요한 광도 1/1000~1/30

- 광질: 공변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청색광 수용체가 빛을 받아야 기공 개폐가 시작

 

b.이산화탄소

- 세포간극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면 기공이 열림

 

c. 수분퍼텐셜

- 잎의 수분퍼텐셜이 낮아지면 수분 스트레스가 커지며 기공이 닫힘

 

d. ABA 에브시식산

- 수분스트레스시 에브시식산 농도 증가, ABA는 기공을 닫게 하여 더이상 수분손실이 없게 조절

 

e.온도

- 온도가 35도씨 이상 높아지면 기공이 닫힘

 

4. 기공의 개폐 기작

- 기공 개방 기작

 * 기공 개방을 위해 공변세포 내의 삼투압을 높임 ,H2O 들어오면 저농도 -> 고농도로 용매이동

 * 공변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청색광 수용체 (햇빛 받으면 열림) 의해 H+ATPase가 활성화

  -->H+ 공변세포 밖으로 나감 -> 세포내 (-) 쌓임 ->K+이온이 들어옴

반응형